steps.co.kr 행위기준고과 법 - 인사고과 신기법으로써 행위기준고과법(BARS)에 대한 연구 > steps4 | steps.co.kr report

행위기준고과 법 - 인사고과 신기법으로써 행위기준고과법(BARS)에 대한 연구 > steps4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steps4

행위기준고과 법 - 인사고과 신기법으로써 행위기준고과법(BARS)에 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4 01:13

본문




Download : 행위기준고과법.hwp






Download : 행위기준고과법.hwp( 87 )




행위기준고과법_hwp_01.gif 행위기준고과법_hwp_02.gif 행위기준고과법_hwp_03.gif
순서

행위기준고과 법

설명

레포트/법학행정








■ 행위기준고과법(BARS)

Ⅰ 의의

BAR은 직무를 수행하는데 나타나는 중요한 사실을 추출해서 몇 개의 범주로 나눈 후 각 범주에 해당하는 중요한 사건을 척도에 의해 평정을 하는 인사고과 기법을 말한다.

Ⅱ BAR의 특징

1 개발목표(goal)의 강조
BAR에 의하면 목표(goal)를 어떻게 달성할 수 있으며 어떤 행위가 목표(goal)달성과 관련이 있는지를 알 수 있으므로 MBO와 함께 사용할 때 더욱 유효하며, 특히 개발목표(goal)상의 강력한 도구가 된다
2 구체적인 직무에 대한 적용
BAR은 특정 직무나 직무군의 characteristic(특성)에 맞우어져 있기 때문에 효율적 행위를 지향함으로써 성과달성에 원인(原因)이 될 직무에 근거한 정보를 개인에게 제공한다. , 행위기준고과 법 - 인사고과 신기법으로써 행위기준고과법(BARS)에 대한 연구법학행정레포트 , 행위기준고과 법
행위기준고과,법,법학행정,레포트


다. 척도설계자에 의해 처음 개발된 몇가지 동질적 행위범주에…(drop)

행위기준고과 법 - 인사고과 신기법으로써 행위기준고과법(BARS)에 대한 연구
행위기준고과 법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3 observation가능한 행위의 확인
BAR에서 평가자는 종업원의 구체적이고 observation 가능한 직무행위를 기록하고 이것을 척도 상의 행위와 비교하게 되므로 종업원의 행위와 발생해야 될 행위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따
4 유효한 행위의 구별
BAR은 종업원들로 하여금 보다 유효한 행위와 그렇지 못한 행위를 구별하도록 하여 그들으 행위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유도하게 된다

Ⅲ 척도의 개발 및 이용방법

1 척도의 개발
1) 대상직무확정
상사를 포함한 종업원 집단에서 efficacy적인 직무행위를 구성하는 행위의 차원들을 확정한다.
BAR은 전통적 인사고과 시스템의 취약점을 극복?보완하기 위해 1963년 개발하였으며, 평정척도법과 중요사건서술법을 보다 정교하게 계량적으로 수정한 기법이다.
2) 행위진술
위 집단은 각 차원의 행위를 수행하는 efficacy적, average(평균)적, 비efficacy적 방식들을 찾아낸다.
3) 각 범주 분류
척도설계자는 위 진술을 수행하는 efficacy적, average(평균)적, 비efficacy적 방식들을 찾아낸다.
4) 구체적 행위기술
성과차원의 efficacy적?비efficacy적 양극단 사이에 들어가는 구체적이고 observation 가능한 행위를 표현하는 설명(explanation)을 기술한다.
- 먼저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5) 척도 재점검
마지막 단계에서 척도의 재표현 혹은 철저한 점검을 한다.
전체 6,673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steps.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