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부식과 『삼국사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5 05:06
본문
Download : 김부식과 『삼국사기』.hwp
김부식과삼국사기 , 김부식과 『삼국사기』인문사회레포트 ,
1. 머리말
2. 삼국사기에 대한 외부적 검토
ㄱ. 김부식의 생애
ㄴ. 시대적 배경
ㄷ. 편찬 동기
3. 삼국사기 비판에 대한 검토
ㄱ. 유교적 합리사관과 사대주의
ㄴ. 전통culture에 대한 인식
ㄷ. 신라 중심의 역사(歷史)인식
4. 맺음말
앞서 서술했듯이 단재 신채호와 김철준은 김부식이 묘청의 난을 진압한 이후로 전통의 맥이 끊기고 유교적 사대주의, 中國 중심의 세계관이 자리 잡았다고 한다.
Download : 김부식과 『삼국사기』.hwp( 48 )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김부식과 『삼국사기』
순서
김부식과삼국사기
김부식의 생애와 그가 살았던 고려 중기의 역사적 상황, 그리고 삼국사기 편찬 동기 등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서 삼국사기에 대해 논란이 있어 온 문제들에 대해 고찰한 리포트 입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삼국사기』에는 사대적 성격과 전통에 대한 체질을 부인하는 입장에서 서술되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삼국사기』에서는 고대의 모습 그대로를 볼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유교적 사유방식에 합당한 모습만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다. 이규보의 『동명왕편』과 『삼국사기』고구려본기 동명신화를 비교해 보면, 당시의 상황을 짐작 할 수 있는 신화들이 삭제되었으며, 또한 『삼국유사』 지철로왕조와 비교해 보면 당시의 팰리시즘에서 나온 표현을 『삼국사기』에는 간략하게 서술하고 있을 따름이다.
반면 고병익은『동명왕편』과 『삼국사기』를 비교해 보았을 때 원형을 많이 남겼다고 하면서 백제·신라의 시조설화에도 이러한 원형이 많이 담겨 있다는 것이다. 또한 거서간 등의 왕호를 개칭할 필요가 없다는 논찬, 신라 관호로서 이벌…(To be continued )
김부식의 생애와 그가 살았던 고려 중기의 history(역사) 적 상황, 그리고 삼국사기 편찬 동기 등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서 삼국사기에 대해 논란이 있어 온 문제들에 대해 고찰한 리포트 입니다.